서울시에서는 기준소득 이하의 저소득 계층을 대상으로 부족한 소득을 일정부분 지원하는 안심소득 사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지난 2022년에 이어 2차 사업인데요.
2023년 1월 23일부터 2월 10일까지 신청이 가능하며 1,100가구만 선정해서 지원할 예정이기 때문에 본 사업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아래 내용을 꼼꼼히 살피신 후 기간 안에 꼭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기준소득 이하의 계층에게 보조금을 통해 소득의 일정부분을 서울시에서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현재는 시범사업으로 한정된 이들을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는데요. 선정된 가정은 2년 동안 매월 지원금을 받게 됩니다.
기준 중위소득 85% 이하이면서 재산 3억 2천 600만 원 이하인 가구를 대상으로 하며 지원금은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지급되며 적을수록 더 많이 받을 수 있습니다.
2023년 1월 23일부터 2월 10일까지 2차 모집이 이루어질 예정인데요. 서울복지포털을 통해 신청이 가능하며 지원 대상은 1100가구입니다.
이 사업에 참여하면 4년간 사업효과를 분석하는 연구사업에도 참여하게 됩니다.
서울 안심소득 자격기준
소득/재산 기준
지난해 진행된 1차 사업에서는 기준 중위 50% 이하에 재산이 3억 2600만 원 이하인 500가구를 선정해 3년 동안 지원했는데요.
이번에 모집하는 2차 사업은 기준 중위 85% 이하에 재산이 3억 2600만 원 이하인 1100가구를 선정해 2년 동안 지원합니다.
1차와 2차를 합해 총 1600가구가 지원대상이 되며 비교집단은 1단계에서 선정한 1000가구와 2단계에서 선정하는 2200개 가구, 총 3200가구입니다.
기준중위소득 85%(구성원 숫자 별 소득 기준)
1인 : 1,766,208원
2인 : 2,937,732원
3인 : 3,769,594원
4인 : 4,590,819원
5인 : 5,381,085원
6인 : 6,143,784원
7인 : 6,891,388원
즉, 이 사업에 신청하기 위해서는 위에 나온 금액보다 소득이 적어야 합니다. 재산은 3억 2600만 원 이하여야 합니다.
거주 지역 기준
서울시에서 시행하는 사업이기 때문에 사업 공고일을 기준으로 서울시에 거주하는 가정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 개인이 아닌 가구별로 지급이 된다는 점도 참고해주세요.
서울 안심소득 지원금
이 사업 대상자로 선정되면 매월 돈을 지급 받는데요. 지원금은 [(중위소득 기준액 (85%) – 가구 소득) x 0.5]으로 계산해서 지급되며 받을 수 있는 최대 지원금은 아래와 같습니다.
1인 가족: 883,110원
2인 가족: 1,468,870원
3인 가족: 1,884,800원
4인 가족: 2,295,410원
5인 가족: 2,690,550원
6인 가족: 3,071,900원
7인 가족: 3,445,700원
서울 안심소득 사업 신청방법
신청기간은 2023년 1월 23일(월) ~ 2023년 2월 10일(금)까지 입니다.
신청방법은 안심소득 시범사업 참여가구 모집 신청사이트(http://ssi.seoul.go.kr)에 접속해서 온라인 신청을 하면 되는데요. 선착순으로 선정하는 게 아니기 때문에 서둘러서 신청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인터넷 신청이 어려운 분들은 전용 콜센터(1668-1736)에 전화해서 신청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서울 안심소득 사업 모집 절차
서울복지포털(https://wis.seoul.go.kr/)을 통한 공개모집 > 1차 선정 > 신청서류접수 (동주민센터) > 소득재산조사 > 2차선정 > 최종 선정의 절차로 진행됩니다. 모집부터 최종 선정까지 약 6개월 정도가 소요됩니다.
기초생활 보장 생계급여, 기초 연금 등 수급자도 신청할 수 있지만 복지급여를 중복지원하지는 않습니다. 또한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자는 생계급여 및 주거급여 현금 급여지급은 중단됩니다 (수급자 자격은 유지)
정부의 기초연금, 서울시 청년수당, 청년월세, 서울형 주택바우처는 상관 없이 지원받을 수 있지만, 지원액에서 현재 지원받고 있는 복지급여액을 차감 지급받게 되는 점을 참고해주시고, 지원 대상으로 선정되었을 경우는 서울형 기초생활보장 대상에서는 제외됩니다.
지금까지 안심소득 사업에 대해 살펴봤는데요. 경제적으로 어려운 이들을 돕기 위한 복지제도로서 앞으로도 보다 확대됐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1월 23일부터 2월 10일까지 신청할 수 있으니 조건에 해당 되시는 분들은 신청하시는 걸 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