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월 도시가스 요금 고지서를 받아서 보신 분들은 당황하고 놀라셨을겁니다. 도시가스 요금이 작년 동월 대비 2배 이상 올랐기 때문인데요. 도시가스 요금이 오른 이유는 러-우 전쟁으로 글로벌 에너지 수급이 불안정해지고 원자재(액화천연가스)가격이 급등했기 때문입니다.
더불어서 환율과 물가까지 가파르게 상승했다는 겁니다. 또 작년에는 체감하지 못했지만 도시가스 요금을 4차례 인상하면서 약 38%가까이 올랐는데요. 도시가스를 많이 사용하는 겨울이 되면서 온수와 난방 사용량이 높아지면서 요금 폭탄을 맞게 된겁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계속 요금을 납부하면서 지낼 수 밖에 없는 걸까요? 아닙니다. 지금부터 인퐁에서 난방비를 아끼고 감면율에 따른 절약캐쉬백(환급)을 받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도시가스 요금 아끼는 방법
도시가스 요금을 아끼는 방법은 바로 난방비를 아끼는 것과 직결되는데요. 보일러 가동 시간과 가동 시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는게 매우 중요합니다. 아끼기 위한 방법은 평소 생활습관을 고치기만 하더라도 많이 세이브할 수 있습니다.
실내온도
먼저 실내적정온도는 18~20도가 되도록 설정하는 겁니다. 난방비를 가장 절약하기 좋은 방법으로 20도에서 1도만 올라가더라도 요금이 15%이상 올라가기 때문에 20도 이하를 유지하는게 좋다고 합니다.
평소 높은 온도로 난방을 사용해서 반발을 입을 정도로 보일러를 가동하다가 더워서 중단했다가 다시 재가동하는 방법은 소비량을 매우 급증하게 만든다고 합니다. 때문에 실내 난방온도를 18도에서 20도 사이로 유지하는게 중요합니다.
참고로 실내 난방온도를 1도만 낮추더라도 에너지 소비량을 7%나 절약할 수 있다고 합니다.
실내 난방온도를 유지하는 좋은 방법은 바로 적정습도를 50~60%로 유지하는 건데요. 보일러를 가동하면서 가습기나 젖은 수건을 활용한다면 열 전달이 빨라져서 온도를 빠르게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 이렇게 올라간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바닥에 러그나 카페트를 깔아두는게 효과적입니다.
온수사용
도시가스 요금에 가장 영향을 주는 사용방법 중 하나가 바로 온수사용인데요. 적정온수온도는 40도로 설정하는게 좋습니다. 가정에서 가스비가 가장 많이 나오는게 온수온도를 최고로 설정하고 수압을 강하게 해서 뜨겁다고 느껴서 차가운 반대방향으로 애매하게 돌리는 건데요.
온수온도를 40도로 맞춰놓고 수압을 중간세기로 사용하면 물을 데우는데 에너지를 절약하고 물도 낭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온수를 사용한 후에는 냉수쪽으로 수도꼭지를 돌려놓야합니다. 온수쪽으로 해놓는 경우 물을 데우기 위해서 불피룡한 공회전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보일러 세팅
평소 보일러 외출기능을 이용하는게 좋습니다. 보일러는 완전히 종료하면 일정온도까지 재가동하는데 더 많은 에너지가 소비됩니다. 외출 기능을 활용해서 적정온도를 유지하는게 비용을 절약하는데 좋습니다. 몇일씩 외출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외출모드를 추천합니다.
또 집이 크고 평소 잘 이용하지 않는 방은 난방 밸브를 지정해서 잠궈두는게 좋습니다. 온도조절기는 잠김상태로 미세한 열 공급이 이뤄지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방은 밸브를 잠그고 주차단 밸브의 경우 일부 닫힘 위치로 조절하는게 좋습니다.
또 사용하지 않는 방은 문을 닫아서 열 손실을 방지하는게 좋습니다.
이 외에도 창문이나 현관문에 열손실을 막기 위해서 중문을 설치하거나 방열재를 부착하고 문틈으로 들어오는 찬공기를 막아준다면 난방을 효과적으로 유지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가스 절약캐쉬백
1월 31일까지 신청을 받고 있으며 위에서 설명드린 방법으로 도시가스 요금 감면율 7%을 성공하신다면 캐쉬백을 받을 수 있는데요. 계산 방법은 아무리 쉬운 설명을 보더라도 너무 복잡하기 때문에 7% 이상 절감 시 매월 평균 5000원 정도 캐시백을 받는다고 생각하시며 됩니다.
물론 가정마다 사용하는 절감량은 산정 시 다를 수 있다는 점은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도시가스 절약캐쉬백 신청 방법
한국가스공사 홈페이지나 아래 첨부해놓은 링크를 통해서 접속한 다음 회원가입을 하고 본인인증 후 본인이 거주하고 있는 주택이 사용하고 있는 도시가스사를 선택하고 고객식별번호와 가입자명을 입락하면 됩니다.
고객식별번호는 가스계량기나 고지서에 나와있는 번호를 확인하고 신청하면 됩니다. 어렵지 않기 때문에 직접 확인해보고 궁금한 내용은 아래 댓글로 문의해주세요.
https://k-gascashback.or.kr/ko/
모두 난방비 절감을 위한 생활습관을 고치고, 회원가입 및 혜택 신청까지 완료하신 후 3월까지(4월 고지서) 비용 절감에 성공한 가구을 대상 캐쉬백을 받게 됩니다. 현금으로 환급금을 받을 수 있고 환급 일정은 6월 중순이라고 합니다.
이상 여러분의 경제 정보비서 인퐁이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