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생활복지정보농식품바우처 지원대상 지원품목 지원금액

농식품바우처 지원대상 지원품목 지원금액

2023년 2월 20일부터 농식품바우처 시범사업 신청이 시작됩니다. 아직 일부 지역에서 시범적으로 운영되기는 하지만, 요건을 충족한다면 매월 가구원 수에 따라 최소 4만원에서 최대 12만 6천원까지 농식품 구매금액을 지원받을 수 있는데요, 오늘은 농식품바우처에 대해 알아보고, 신청요건과 신청방법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농식품바우처란, 소득 불평등 심화, 고령화 등으로 경제적 취약계층이 확대되고, 영양섭취수준과 식습관 악화로 건강위협이 심화됨에 따라 미래에 부담해야 하는 의료비 등 사회적 비용 감소를 위해 경제적 취약계층 대상 영양 보충적 지원 정책의 일환으로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추진 중인 사업입니다.
2023년에는 18개의 시범지역에서 시행되며, 2020년 4개 지자체에서 시작하여 지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니, 올해 시범지역이 아니더라도 미리 눈여겨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농식품바우처 지원내용

1. 지원대상

농식품바우처는 중위소득 50%이하 가구(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에 지원됩니다. 보건복지부에서 공시한 2023년 기준 중위소득 구간과 중위소득 50%는 다음과 같습니다.
기준중위소득 (원)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
5인 가구
6인 가구
중위소득 100%
2,077,892
3,456,155
4,434,816
5,400,964
6,330,688
7,227,981
중위소득 50%
1,038,946
1,728,077
2,217,408
2,700,482
3,165,344
3,613,990

2. 지원품목

농식품바우처는 취약계층의 부족한 영양소, 식품소비 패턴, 취약계층의 선호도, 국내산 공급여력 등을 고려하여 지원대상 품목의 적합성을 판단하여, 다음 항목에 대해 신선식품을 구입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국내산 과일
국내산 채소
국내산 흰 우유
국내산 계란
국내산 육류 (고기:돼지고기,소고기,닭고기 등 / 부속물: 내장, 피, 뼈, 뿔 등)
국내산 잡곡 (현미, 찹쌀, 보리, 밀, 콩, 옥수수, 조, 깨, 녹두 등)
국내산 꿀 (이외 품목 구입 불가)
국내산 두부류
국내산 단순가공채소류
국내산 산양유
3. 지원금액
농식품바우처의 월별 지원금액은 1인 가구 기준 최저생계비 계측결과(보건사회연구원)와 생계급여 식품비를 포함한 사용가능 식품비(행복e음 산출)의 차액인 영양보충 차액을 기준으로 가구원 수에 따라 결정됩니다. 2023년에는 아래와 같이 4만원으로 결정되었는데요, 2017년 보건사회연구원의 최저생계비인 236,000원과 엥겔지수를 적용하여 산출한 사용가능 식품비인 195,000원의 차이금액임을 알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결정된 영양보충 차액을 바탕으로 가구원 수에 따라 지원금액이 결정됩니다. 이 금액은 영양보충적 차액지원(4만원)에 OECD 균등화지수(√(가구원수))를 적용한 금액입니다.
즉, 최종 지원금액은 아래와 같이 1인가구 최소 40,000원에서 10인 이상 가구 최대 126,000원입니다.

농식품바우처 신청하기

1. 신청기간

신청기간은 2023년 2월 20일(월)부터 2023년 11월 30(목)까지입니다. 월 단위로 지원되기 때문에, 최대한 빨리 신청하는 게 유리하겠죠?

2. 신청방법

신청은 방문신청으로만 가능합니다. 바우처 발급을 희망하는 경우, 주민등록상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 방문하여 신청서를 제출하여야 하며, 신청자 본인(지원대상 가구의 가구주 또는 가구원) 또는 대리인(가족, 친족(8촌 이내 혈족, 4촌 이내 인척)이 방문하여야 합니다.
2023년 신청서 양식 (참고용이며, 실제 신청서는 행정복지센터에 구비되어 있습니다.)

농식품바우처 사용하기

1. 사용방법

발급받은 농식품바우처 카드는 매월 1일 카드금액이 재충전되어 당월 말일까지 사용이 가능합니다. 사업을 시작하는 3월은 3월 2일부터 사용이 가능하며, 사용하지 않은 금액은 매월 2,000원 미만에 한해서 이월이 가능하며, 2,000원을 초과하는 금액은 이월되지 않으므로 반드시 해당 월 내에 사용하여야 합니다.

2. 사용가능 판매장 확인하기

농식품바우처(https://www.at.or.kr/fooddream/M000000201/content/view.do) 사이트에서 사용가능한 오프라인 및 온라인 판매장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3. 사용한도 확인 및 잔액 조회

농식품바우처 전자카드의 한도확인 및 잔액조회는 NHBank 앱캐시 모바일 앱 또는 농식품바우처(https://www.at.or.kr/fooddream/M000000036/signcard/list.do) 사이트에서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농림축산식품부의 농식품바우처의 신청 및 사용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아직 시범 지역이 많지 않아 많은 분들이 이용하실 수는 없지만, 보다 빠른 시일 내에 시범 지역이 확대되어 전국에서 사용할 수 있는 날이 오기를 바랍니다!

 

관련 정보 더 보기

많이 본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