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청년기본소득 지원금, 청년 면접 수당, 청소년 교통비 지원, 청년 기본 대출 등 청년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지원 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이번에 새로 경기도지사가 된 김동연 지사는 후보 시절부터 청년들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 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했는데요.
이번 포스팅은 새롭게 출범한 경기도지사 체제에서 처음으로 시행되는 청년 정책인 ‘청소년부모 아동양육비 지원 시범사업’과 ‘여성청소년 생리대 구입비 지원 사업’, ‘EX.I.T 프로젝트’에 대해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소년부모 아동양육비 지원 시범사업
자녀가 있는 청소년부모 가구에 아이 1명당 월 20만 원의 아동양육비를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여기에서 이야기하는 ‘청소년부모 가구’란 <청소년복지지원법> 제2조 제6호에 근거해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 두 사람이 모두 만 24세 이하(1997년 6월 1일 이후 출생자)인 경우를 말합니다.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가 아닌 부모가 청소년인 경우에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신청 대상
경기도에 거주하는 청소년부모이면서 중위소득 60% 이하인 가구여야 합니다. 즉 소득이 2인 가구 기준 월 195만 6천 원 이하, 3인 가구 기준 월 251만 6천 821원 이하여야 합니다.
신청 방법
지원을 희망하는 청소년부모는 7월 1일부터 신분증을 지참하고, 거주지 관할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해 신청하면 됩니다.
제출서류는 주민등록등본, 가족관계증명서(혼인관계증명서), 소득금액증명 또는 사실증명(부와 모 각각 제출), 통장사본 등입니다. 다만 ‘한부모가족지원법’에 따라 복지급여를 받는 대상자는 중복지원이 불가능합니다.
지급 방법
지원 대상자로 결정되면 신청일이 속한 달부터 12월까지 최대 6개월간 급여가 지급되며, 자녀 1명당 월 20만 원의 지원금을 받게 됩니다. 청소년 한부모 가구는 월 35만 원의 아동양육비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여성청소년 생리대 구입비 지원 사업
경기도에 사는 만 11세 ~ 18세의 모든 여성 청소년에게 생리대 구입 비용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새로 만들어진 사업은 아니고 경기도 18개 시군에서 이미 시행 중인 사업이었는데요. 이번에 경기도 전체로 사업을 확장하기로 했습니다. 즉 경기도에 사는 모든 여성 청소년이 이 사업을 통해 생리대 구입 비용을 지원 받을 수 있게 됐습니다.
신청 대상
신청일 기준 현재 해당 시군 내 주민등록 되어 있는 만 11세 ~ 18세의 여성 청소년이 신청 대상입니다. 다만, 여성가족부의 국비사업 지원금을 받고 있는 청소년은 신청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신청 방법
신청 서비스 사이트(https://voucher.konacard.co.kr)에 접속해서 본인인증 후 신청하면 됩니다. 온라인 신청이 아닌 방문 신청을 원하는 경우, 주소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에 방문해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지원 내용
생리 용품을 구입할 수 있는 비용으로 분기 별로 3만 6천 원(연간 최대 14만 4천 원)이 지원됩니다. 지원금은 경기지역화폐 앱으로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 카드로 지급됩니다.
사용 방법
주소지에 있는 CU, GS25, 세븐일레븐, 이마트24 편의점 중에서 경기지역화폐 가맹점인 곳에 방문해서 생리대를 구입하며 지급 받은 모바일 카드로 결제하면 됩니다.
지원금은 12월 31일까지 모두 사용해야 하며, 이 날까지 사용하지 않은 금액은 전액 환수됩니다.
EX.I.T 프로젝트
고립 위기를 겪고 있는 은둔, 니트 청년들과 그들의 부모를 위한 고립청년지원사업으로 청년들에게는 공감과 위로 격려와 지지를 통한 치유와 회복을 위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부모들에게는 정서적 회복과 심리적 안정을 위한 다양한 상담과 커뮤니티 활동을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참가비는 없으며 모두 무료입니다.
신청 대상
경기도에 거주하는 만 19세 ~ 34세 고립위기 은둔 니트 청년 및 부모가 신청 대상입니다.
신청 방법
참여를 희망하는 청년은 홈페이지(www.goripexit.or.kr)에 방문하여 본인이 희망하는 프로그램에 신청하면 됩니다. 관련 문의는 경기 남부(010-7574-1092), 경기 북부(010-5937-1318)로 전화하면 됩니다.
지원 내용
부모 아카데미: 부모들의 정서적 안정과 가족회복을 위한 사례공유, 강연, 상담 프로그램
위드미: 청년들의 정서적 안정과 활력을 증진하기 위한 활동 프로그램
그룹상담: 그룹상담, 개인상담, 음악치료, 심리검사 프로그램
위드워킹: 개별 동반자와 함께 걸으며 주기적으로 상담을 진행하는 프로그램